[ME.RROR Project] 대형 물류센터 디지털 트윈

2023. 6. 7. 17:402. Our Projects

ME.RROR는 Digital Twin용 3D모델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요 

미러가 진행했던 프로젝트 중 대형 프로젝트인 '우정국 우편물류센터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해 보겠습니다!

 

중부권광역우편물류센터(중부권 IMC)는 대전시 동구에 2020년 8월에 문을 연 우편물류센터입니다 

중부권 IMC는 연간 2억개의 소포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대규모 시설로, 연면적 약 26.631㎡(약 8,000평)이며 지하 1층~지상 3층의 높이 규모로 축구장 4개 규모라고 합니다 

 

이렇게 대규모의 물류센터를 디지털 트윈하여 스마트 물류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에 미러가 3D 모델링 서비스를 제공했어요. 대규모의 프로젝트인만큼 Unity 기반 웹시스템에도 작동할 수 있을 정도의 경량화된 데이터와 균등한 퀄리티가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습니다!

우정국 중부권 광역우편물류센터 외관 및 내부 모습 (출처: 일요경제 신문 제공)

 

먼저 현장을 방문하여 3D스캐닝을 시행합니다 

광범위한 면적의 물류센터이다보니, 광대역 스캐너, 매터포트 등 다양한 스캐너 장비가 동원되었습니다

우정국 중부권광역우편물류센터 3D 모델링

 

넓은 공간이지만, 디테일을 놓칠 수는 없죠. 디테일한 표현을 위해 누락되는 곳 없이 구석구석 스캔합니다

넓은 면적의 물류센터 전체를 꼼꼼하게 3D 스캔하여 대량의 스캔 데이터를 취득하였습니다.

 

자 그럼 그 다음 작업은 3D 모델링 입니다. 넓은 면적과 복잡한 컨베이어벨트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유니티 기반 웹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합니다 

 

 

현장 3D 스캔 이후, 데이터 경랑화를 위한 3D모델링 작업을 진행하면서 특히 집중적으로 사용한 기술은 모듈화 기법이었습니다. 동일한 형태를 가진 오브젝트나 부분들을 인스턴스화하여 재사용함으로써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고, 텍스처 최적화 및 압축 기술을 통해 데이터 크기를 줄입니다. 

 

데이터 퀄리티를 유지하면서도 데이터를 경량화하는 여러가지 기법을 사용하여, 결국 미러는 놀라울 정도의 빠른 속도로 촬영 및 데이터 경량화를 진행하였고, 유니티 기반 웹 시스템에서도 원활히 작동할 수 있는 3D 데이터를 만들어내었습니다.

이 모델링 데이터는 물류 자동화 설비 주요 부품의 고장 예측/진단, 작업자 모니터링을 통한 이동체(작업자, 전동차 등)간 충돌 방지 예측 및 알림, 센서인식을 통한 화재 인식 및 대피 안내 등의 안전관리에 활용된다고 합니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현실 세계의 물리적인 개체나 시스템을 디지털 환경에 모델링하여 실시간으로 실제 시스템의 동작과 상호작용을 디지털적으로 재현하여 데이터를 수집 분석 하는 기술입니다. 이미 다양한 산업 섹터에서 디지털 트윈을 사용하고 있고, 앞으로 그 활용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물류센터 Digital Twin 구현 예시

 

다른 3D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들을 보고 싶거나, 비즈니스 의뢰를 하고 싶다면 저희 미러의 공식 홈페이지, 혹은 SNS 를 방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ME.RROR 사이트 둘러보기 >>>>>>>

 

 

ME.RROR - 아시아 기반의 3D 콘텐츠 라이브러리

ME.RROR는 아시아의 동양적인 특징을 가진 3D콘텐츠를 제공합니다. 미러의 3D에셋을 쉽고 간편하게 다운로드 하세요. 웹툰,게임,애니메이션,VR 등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3D모델을 자유롭게 사용하세

me-rror.com